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송기재 교수.jpg
▲ 송기재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봄이 되면 이비인후과에 환자가 급격히 늘기 시작한다. 재채기·맑은 콧물·코막힘 등을 동반하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이 급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절기인 봄에는 감기 환자와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섞여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잘 감별해야 한다.

 일시적인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기와는 달리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관리하지 않을 경우 증상이 더 악화돼 부비동염(축농증)으로 진행되거나, 천식이나 기관지염의 악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알레르기 비염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도 되는 항원에 면역체계가 작동해 만성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항원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항원은 꽃가루와 집먼지 진드기라고 할 수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수많은 종류의 꽃가루가 날리기 때문이다. 특히 봄철은 오리나무·버드나무·참나무 등의 수목 꽃가루가,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는 호밀풀·큰조아제비와 같은 목초 꽃가루가 주로 날린다.

 집먼지 진드기는 연중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대표적인 항원이다. 주로 이불·쇼파 등 실내에서 쉽게 발견되며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따라 번식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집먼지 진드기로 인해 알레르기 비염에 걸렸다면 집 안 환경을 바꿔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비내시경을 통해 비점막의 부은 정도와 분비물 양, 색깔을 살펴봐야 한다.

 이후 알레르기 비염으로 의심될 경우에는 피부반응 검사나 혈액을 통한 항체 검사 등을 통해 알레르기 항원 양성 여부와 항원의 체내 반응 강도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는 단순히 환자의 알레르기 여부를 진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항원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약물치료가 중요하겠지만 이와 함께 환경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 물질을 파악하고 접촉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집먼지 진드기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므로 환기와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집먼지 진드기는 사람의 인설(각질화된 피부로부터 얇고 비늘 모양의 껍질이 일어나 떨어지는 것)을 먹고 살며 침구류나 카펫·소파 등에 서식하므로 이들의 세탁에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침구류는 삶은 세탁을 하는 것이 좋고, 증상이 심한 환자들은 집먼지 진드기 비투과성 침구류와 같은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만하다.

 꽃가루가 원인인 경우 꽃가루의 날림 양이 많아지는 낮 시간대의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외부 활동 시에는 마스크 등을 착용해 항원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집에 들어와서는 옷을 털고 바로 씻어 몸에 묻은 꽃가루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강 내 생리식염수 세척의 경우도 비점막에 앉은 여러 항원을 씻어내 항원 노출을 줄일 수 있다는 면에서 알레르기 비염 치료에 도움을 준다.

 <도움말=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송기재 교수>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